deadlock_detection_interval_in_secs
- 교착 상태 여부를 탐지하는 주기를 설정하는 파라미터
- 초 단위이고, 기본 값은 1초
- 0.1초 단위로 값을 지정할 수 있음 (ex. 0.2)
- cubrid lockdb demodb를 통해 설정값 확인 가능

isolation_level
- 트랜잭션의 격리 수준을 설정하기 위한 파라미터
- 기본 값은 READ COMMITTED
- 파라미터에 들어가는 값은 숫자 값으로 격리 수준 별로 정해진 번호가 있음
- READ COMMITTED: 4
- REPEATABLE READ: 5
- SERIALIZABLE: 6
- cubrid lockdb demodb를 통해 각 프로세스 별 격리 수준을 확인할 수 있음

lock_escalation
- 행에 대한 잠금이 테이블 잠금으로 변경되기 전에 개별 행에 허용되는 최대 잠금의 개수를 설정하는 파라미터
- 기본값은 100,000이고 최소 값은 5
- cubrid lockdb demodb를 통해 설정값 확인 가능

rollback_on_lock_escalation
- 잠금 에스컬레이션 발생 시 트랜잭션의 롤백 여부 지정
- 해당 파라미터를 yes로 설정하면 잠금 에스컬레이션을 발생시키지 않고, 잠금 요청에 대해 실패하게 되어 트랜잭션을 rollback
- 기본 값은 no

lock_timeout
- 잠금 대기 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파라미터
- 잠금 대기 시간이 지정한 잠금 타임아웃 시간을 넘으면, 해당 트랜잭션을 롤백시키고 에러를 출력
- 기본 값은 -1로 무한정 대기를 의미

'DBMS > CUBRI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UBRID] VACUUM 테스트 (0) | 2024.08.25 |
---|---|
[CUBRID] 2PL, MVCC, VACUUM (1) | 2024.08.25 |
[CUBRID] Lock 발생시킨 후 잠금 상태 확인 (1) | 2024.08.25 |
[CUBRID] 잠금과 교착 상태 (1) | 2024.06.01 |
[CUBRID] 트랜잭션과 격리 수준 (0) | 2024.06.01 |